신종철 도의원, 산청 수해 복구 아직 끝나지 않았다 | |||||
---|---|---|---|---|---|
작성자 | 경상남도의회 | 작성일 | 2025.08.07 | 조회수 | 54 |
신종철 도의원, 산청 수해 복구 아직 끝나지 않았다 - 고령 농가의 복구 어려움...딸기 육묘 시기 놓치면 생계 타격 - 자원봉사자 발길 뜸해져...지역사회 연대 절실 호소 - NDMS 기준 4,914억 원 피해...236명 여전히 대피 중
경상남도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신종철 의원(국민의힘, 산청)은 지난 7.16~20.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산청 지역의 복구 상황과 관련해 “수해 복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호소했다.
신 의원은 “산청군은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주민들이 스스로 사유지 내 피해를 복구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특히 딸기 재배 농가에 있어 8월은 육묘 생산의 중요한 시기로, 이를 놓칠 경우 연간 소득이 전면 중단될 수 있어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하우스, 논밭 등 생계와 직결된 농업 기반시설 복구가 현재까지도 완료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신의원은 “수해 초기의 활발했던 자원봉사와 지역사회 관심이 점차 식어가는 현실이 더욱 안타깝다”며, “지금 이 순간에도 무더위 속에서 복구 작업에 힘쓰는 주민들을 위해 도민 모두의 지속적인 연대와 도움의 손길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산청군은 이번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 중 하나로,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기준 현재까지 총 4,914억 원의 재산 피해가 집계됐다. 이 중 공공시설 피해는 1,026건 3,800억 원, 사유시설 피해는 29,388건 1,114억 원으로 확인되었으며, 인명 피해도 커 14명이 사망 하고 1명이 실종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45세대 236명의 주민이 귀가하지 못한 채 대피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끝으로 신 의원은 “많은 주민들이 여전히 주거지를 온전히 복구하지 못한 채 수해의 상처 속에서 힘겹게 일상을 회복해 나가고 있다”며, “복구 현장에서 땀 흘리는 이웃들을 위해 도민 모두가 지속적인 관심과 따뜻한 연대를 보내주길 바란다”고 재차 강조했다. ![]() |
|||||
첨부 |
![]() ![]() ![]() ![]() ![]() ![]() |
다음글 | 김구연 도의원, 의료취약지에도 보호자 없는 병동을··· |
---|---|
이전글 | 장진영 도의원, 축산악취 해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
누리집 담당부서
- 홍보담당관실 : 055)211-7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