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글로벌 링크

보도자료

HOME 의회홍보 보도자료
통합검색
보도자료 글보기, 각항목은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분됨
정규헌 의원, “교육감 선거 조력자들, 교육감과 경남교육 위해 제자리로 돌아가 달라”
작성자 경상남도의회 작성일 2022.11.25 조회수 327

정규헌 의원,“교육감 선거 조력자들, 교육감과 경남교육 위해 제자리로 돌아가 달라”

- 정규헌 도의원, 25일 제400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 도정질문서

- “공무직 상시전일제 전환, 교육감 선거 위한 것 아니었나” 지적도

 

박종훈 경남교육감 3선 달성에 기여한 조력자들이 경남교육청의 주요보직에 기용되어 ‘실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지적이 도의회에서 나왔다.

 

25일 열린 제400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 도정질문에 나선 정규헌 경상남도의원(국민의힘, 창원9)은 교육청을 대상으로 한 질의에서“교육감의 3선 달성을 위해 선거 캠프에서 중추적 역할을 했던 조력자들이 주요보직에 기용되어 교육청 인사를 좌지우지 하는 등 실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교육청 안팎에서 회자되고 있다”며 전 모 서기관, 강 모 실장, 문 모 씨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정 의원은“선거 국면의 공신들을 기용하거나 주요보직을 약속하는 것은 교육감이 지향하고 있는 교육본질 중심, 미래교육 실현을 혼탁하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하며,“교육감 당선에 공이 있는 사람들은 교육감과 경남교육을 위해 제자리로 돌아가고, 교육감은 그 자리에 미래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들을 기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정 의원은 지난 6·1 지방선거 교육감 선거과정에서 TV토론회에 나온 상대 후보가 박 교육감 측근 인사에 대해 “경남교육청의 문고리”라며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여전히 이 부분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질타했다.

 

정 의원은 또 지난 3월 교육청 공무직 중 돌봄전담사와 특수교육실무원, 조리사, 조리실무사 4개 직종이 상시전일제로 전환되는 내용이 담긴 단체협약이 전격적으로 이뤄진 부분을 언급하며, 단체협약 체결 한 달 뒤인 4월 박종훈 교육감이 출마선언을 한 점을 짚었다.

 

또 상시전일제 전환이 예고된 4개 직종에 종사하는 인원이 나머지 공무직종들에 비해 규모가 큰 점을 지적하며 “4개 직종 종사자 인원이 6,255명인데, 박종훈 교육감과 상대 후보 간의 득표차이가 6,750표로 상당히 근접한 숫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단체협약의 내용과 체결 시기 등을 고려해 볼 때, 상시전일제 전환을 약속받은 6,255명이 교육감 당선에 상당히 유의미한 역할을 했을 거라는 유추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다만, 조리종사자들의 상시전일제 전환 자체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조리사와 조리실무사 직종 모두에게 상시직 전환을 약속한 광역단체는 17개 시·도 중 경남이 유일할 정도로 파격적인 처우개선이 이루어진 만큼, 상시전일제 전환에 맞춰 방학 중 급식 등 공무직의 직무를 정상화하고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경남교육청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주문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정규헌 의원(010-3722-111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정규헌 의원, “교육감 선거 조력자들, 교육감과 경남교육 위해 제자리로 돌아가 달라” - 1
첨부 202211251648278374232-ec691f3009bd04fa448665fce89b28d4cdebcb261b23521c8c4f2175b346ebc353ad57bb8b744152 (보도자료)정규헌 의원_도정질문.hwp    바로보기
202211251648278782630-33beef273d43de58839c9c334c37be3ee5157ada069b1443bbe847c86f80d6bdb69a37382cd45fc7 정규헌 의원.jpg    바로보기
이전글, 다음글, 각 항목은 이전글, 다음글 제목을 보여줍니다.
다음글 23년도 본예산 교육청 소관 예산결산특별위원장 선임
이전글 박인 의원, 도교육청 유치원 유아교육비 지원시기·규모 도청과 협의해야

누리집 담당부서

  • 홍보담당관실 : 055)211-7081

주소 및 연락처, 저작권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