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글로벌 링크

보도자료

HOME 의회홍보 보도자료
통합검색
보도자료 글보기, 각항목은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분됨
경제환경위원회, 도내 대학생 채용비중 확대 및 현실적 고용정책 요청
작성자 경상남도의회 작성일 2016.11.09 조회수 682
도내 청년취업․실업자 재취업에 전력해야
도내 대학생 채용비중 확대 및 현실적 고용정책 요청
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 고용정책단 행정사무감사서 밝혀

경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위원장 정광식)가 청년실업․조선업구조조정․베이비부머 퇴출 등에 걸 맞는 경남특유의 고용정책을  주문하고 나섰다.

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는 지난 9일 오전 경남도 고용정책단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일제히 성토했다.

첫 질문자로 나선 강민국의원은 “정부가 약2조8천억원의 예산을 투입 20여개의 고용정책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아우성”이라고 말하고, 해외취업자 병역대체제도 등 획기적인 방안을 주문했다.  
  
다음 질문자로 나선 박정열 의원은 “조선산업 대책으로 빅3만 신경쓰는 사이에 3,500명의 종업원과 협력사까지 5,000여명이 관련된 사천 SPP조선이 문을 닫았다”며 중소조선소의 대책도 주문함과 동시에 “조선 실업자들을 도내 대기업들이 나누어 취업시킨다면 문제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여영국 의원은 “지금 최고의 고용정책은 사후약방문식 처방보다는 기존기업의 고용유지정책이며, 현재 기업들이 32% 감축계획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구조조정을 지양하고, 고용지원금 확대, 인위적 감원 요청 등”을 정부에 건의 할 것“을 제안했다.      

김홍진 의원은 “도에서 각종 취업박람회 등을 실시하는 것은 맞지만 사후 관리가 종요한 만큼 사후관리에 만전을 기해달고”고 말했고, 제정훈 의원은 “하이트랙의 이직율이 많음을 지적하고 채용장려금 확대” 등 특성화고 학생들의 취업률을 높일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촉구했다.

이만호 의원은 “구조조정대상자들의 국부유출을 우려하며 청년일자리보다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들의 재취업이 더 중요할 수 있는 만큼, 획기적인 재취업의 정책마련”을 요구했다.

이태춘 의원은 “전통적인 생산기업의 생상수단이 사람에서 로봇으로 대체되고 있는데 도의 정책도 산업재편에 맞춘 정책변화”를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질문에 나선 정판용 의원은 “수도권에 집중한 대기업과 공기업들이 수도권 학생들만 채용하는 상태에서 도내 대기업과 공기업마저 수도권학생들로 채운다면 도내 대학생들은 갈 곳이 없다”고 밝히고, “도내 대기업과 공기업들의 도내학생 취업현황을 파악․보고하고 도내학생취업 대책을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정광식 위원장은 “조선 산업의 위기와 청년실업 등으로 취업이 경남도의 가장 큰 관심사이여서 모든 위원들이 이구동성으로 즉각적이고 효율성 있는 고용정책을 주문하는 것이니 만전을 기해 달라”고 밝혔다.

한편 곽기옥 경남도 고용정책단장은 “경남도에서도 정부와 기업, 대학 등과 머리를 맞대고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오늘 제기된 문제들도 반영하여 도민일자리 창출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경제환경위원회, 도내 대학생 채용비중 확대 및 현실적 고용정책 요청 - 1
경제환경위원회, 도내 대학생 채용비중 확대 및 현실적 고용정책 요청 - 2
첨부 201712210256572417-61fcf8ede343d30bcd2fc5398b4487208762c9cd7898cb68445186ff69c164cd 보도자료4-행정사무현장감사 -고용정책단1109.hwp    바로보기
201712210256575850-f6e0a1e2ac41945a9aa7ff8a8aaa0cebc12a3bcc981a929ad5cf810a090e11ae 111.jpg    바로보기
201712210256576243-52a7e9e82b7944646da203a9a49c5dd6132dd06df48ec1ed650733a37b5304bb DSC_3752.JPG    바로보기
이전글, 다음글, 각 항목은 이전글, 다음글 제목을 보여줍니다.
다음글 강민국 도의원, 경남도내 싱크홀(지반침하) 사전예방을 위한 철저한 대책요구
이전글 천영기 의원, \"남발되고 있는 단체장 표창 제도 과감히 개선해야...\"

누리집 담당부서

  • 홍보담당관실 : 055)211-7081

주소 및 연락처, 저작권정보